채근담(菜根譚) 채근담(菜根譚) 전집 제95장 군자가 변절하는 것은 소인이 회개하는 것만 못하다. 君子而詐善 無異小人之肆惡 군자이사선 무이소인지사악 君子而改節 不及小人之自新 군자이개절 불급소인지자신 군자로서 위선을 하는 것은 소인이 함부로 악을 저지르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군..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1.11.18
조금만 버리고 비우자 조금만 버리고 비우자 재물에 임해서는 구차하게 얻지 말며, 어려움에 임해서는 구차하게 면하려 하지 말며, 다툼에는 이기려고만 하지 말며, 나눌 때는 많이 가지려만 하지 말 것이다. - 예기 -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1.09.20
지혜로운 삶 지혜로운 삶 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 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 무엇을 들었다고 쉽게 행동하지 말고, 이치가 명확할때 과감히 행동하라. 벙어리 처럼 침묵하고 임금님 처럼 말하며, 눈처럼 냉정하고 불처럼 뜨거워라. 태산같은 자부심을 갖고, 누운 풀 처럼 자신을 낮추어라. 역경을 참아 이겨내..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1.09.20
채근담(菜根譚) 채근담(菜根譚) 전집 제67장 악행이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한다면 선해질 가능성이 있다. 爲惡而畏人知 惡中猶有善路 위악이외인지 악중유유선로 爲善而急人知 善處卽是惡根 위선이급인지 선처즉시악근 악한 일을 했으면서도 남이 알까 두려워함은 그래도 악한 가운데 도리어 선으로 가는 길이 있음..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1.09.15
채근담(菜根譚) 제63장 채근담(菜根譚) 전집 제63장 그릇의 물은 가득차야 넘친다 義器 以滿覆 撲滿 以空全 의기 이만복 박만 이공전 故君子寧居無 不居有 寧處缺 不處完 고군자녕거무 불거유 영거결 불처완 의기(의器)는 가득 차게 되어 엎질러지고 박만(撲滿)은 텅 비어져야 온전하다. 그러므로 차라리 군자는 무(無)의 경..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1.09.02
관계(關係)의 덕(德) 관계(關係)의 덕(德) "好醜心太明 測物不契賢愚心太明測人不親 호추심태명 즉물불계 현우심태명 즉인불친 士君子須是內精明而外渾厚使好醜兩得基平 사군자수시내정명이외혼후 사호추양득기평 賢愚共受基益纔是生成的德量" 현우공수기익 재시생성적덕량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이 너무 분명하면 ..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1.05.04
소인과 군자 소인과 군자 소인이 일을 함에는 반드시 이득을 얻겠다 하나, 군자는 의를 얻겠다 한다. 얻겠다 하는 점은 같지만 서로 기대하는 바는 다르다. - 회남자 - 이즈음 이익을 얻지 못하는 일에는 마음도 쓰지 않는 현실입니다. 이익을 등한시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더 큰 이익, 물질이 아닌 ..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1.02.21
하찮은 일에 너무 집착하지 말라 하찮은 일에 너무 집착하지 말라 바람이 성긴 대숲에 불어와도 바람이 지나가면 그 소리를 남기지 않는다. 기러기가 차가운 연못을 지나가도 기러기가 지나가고 나면 그 그림자를 남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군자(君子)는 일이 생기면 비로소 마음이 나타나고 일이 지나고 나면 마음도 따라서 비워진다...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1.01.03
채근담(菜根譚) 채근담(菜根譚) 후집 제117장 너무 한가하면 엉뚱한 생각이 떠오른다. 人生이 太閒하면 則別念이 竊生하고 인생 태한 즉별념 절생 太忙하면 則眞性이 不現하나니 태망 즉진성 불현 故로 士君子는 不可不抱身心之憂하며 고 사군자 불가불포신심지우 亦不可不耽風月之趣니라 역불가불탐풍월지취 사람..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0.10.02
채근담(菜根譚) 채근담(菜根譚) 후집 제116장 내 몸을 제대로 다루어야 본래의 만물을 다룰 수 있다. 就一身了一身者는 方能以萬物로 付萬物하며 취일신료일신자 방능이만물 부만물 還天下於天下者는 方能出世間於世間이니라 환천하어천하자 방능출세간어세간 자기 한 몸에 대하여 그 한 몸을 온전히 깨달은 사람은.. 溫故知新(옛것을 생각하며) 201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