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점을 보는 눈 장점을 보는 눈 군자는 타인의 좋은 점을 말하고 악한 점을 말하지 않는다. 반대로 소인은 타인의 좋은 점은 말하지 않고 악한 점만 말한다. - 공자 - 두 사람만 모여도 흉이 나오기 마련입니다. 그만큼 칭찬보다는 남의 허물을 말하기가 쉽기 때문이지요. 입에 발린 칭찬도 가식이지만. 장..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13.03.27
사람을 안다는 것 사람을 안다는 것 내가 사람을 대함에 있어 누구를 흉보고 누구를 칭찬하랴. 그러나 어떤 이를 칭찬할 경우에는 먼저 그를 시험해 본 다음에라야 한다. - 공자 - 인물을 추천한 다음, 그 사람에 대한 좋지 않은 평가가 내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가 그 사람을 잘못알고 있었거나 과신한 ..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13.01.28
사람을 보는 아홉 가지 지혜 사람을 보는 아홉 가지 지혜 공자는 말했다. "무릇 사람의 마음은 험하기가 산천보다 더 하고, 하늘보다 더 어려운 것이다." 알기는 하늘에는 그래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과 아침, 저녁의 구별이 있지만, 사람은 꾸미는 얼굴과 깊은 감정 때문에 알기가 어렵다. 외모는 진실한듯 ..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12.09.20
의로운 자로 의로운 자로 공자의 문하생 가운데 가장 나이가 많은 자로는 본래 무뢰한이었지만 심성이 곧고 순진하여 나중에는 스승에게 헌신적인 제자가 되었다. 하지만 스승의 흉을 보는 자가 있으면 당장 잡아다가 혼내 줄 만큼 여전히 성격이 과격해 자로가 나타나면 슬그머니 자리를 피하는 사..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12.05.15
노자의 인간관계 5계명 노자의 인간관계 5계명 노자는 주나라의 궁정 도서실의 기록 계장이었다가 후에 궁중 생활이 싫어 유랑의 길을 떠났다. 노자의 행적에 대해선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노자의 '도덕경'에 나타난 사상에서 인간 관계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고 한다. 첫째 : 진실함이 없는 아름다운 말을 늘어놓지 말..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11.10.01
사람을 보는 지혜 사람을 보는 지혜 무릇 사람의 마음은 험하기가 산천보다 더하고 알기는 하늘보다 더 어려운 것이다. 하늘에는 봄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과 아침저녁의 구별이 있지만, 사람은 꾸미는 얼굴과 깊은 감정 때문에 알기가 어렵다. 외모는 진실한 듯하면서도 마음은 교활한 사람이 있고, 겉은 어른다운 듯..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10.12.23
和而不同 君子 和而不同하고 小人 同而不和니라. 군자 화이부동하고 소인 동이불화니라. 군자는 화합하되 같이 하지 아니하고, 소인은 함께하되 화합하지 못한다. -논어- 여기서 말하는 군자는 한 삶을 구가하면서 나름의 인생철학을 지니고 있는 사람이라 해도 무난합니다. 삶의 철학이 있는 자는 화합하되 공..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10.04.15
참다운 삶을 위한 훈화 참다운 삶을 위한 훈화 *남을 무시하지 말라 태공이 말하였다. "자기가 잘났다고 생각하여 남을 업신여겨서는 안 되며, 자기가 크다고 생각해서 작은 사람을 무시해서도 안되고, 용기를 믿고 적을 가볍게 대해서도 안된다. *힘으로 남을 이기려 하지 말라 맹자가 말하였다. "힘으로 남을 이기려 하면 겉..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09.11.04
덕(德)으로 은혜를 갚으라! 덕(德)으로 은혜를 갚으라! “정직함으로 원한을 갚고, 덕으로 덕을 갚아야 할 것이다.” - 헌문(憲問) 제14-36 어떤 사람이 공자에게 물었다. ‘은혜로 나의 원한을 갚는 게 어떻습니다?’ 하였다. 이에 공자 말씀이 “그렇다면 그대에게 은혜로움을 베픈 사람에게는 무엇으로 갚겠는가? 원한은 사사로..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08.10.20
천리마(千里馬) 천리마(千里馬) “천리마(千里馬)는 그 힘을 칭찬받는 것이 아니라, 그 덕(德)을 칭찬받는 것이다. - 헌문(憲問) 제14-35 공자가 말씀하시길 “천리마가 칭찬을 받는 것은 잘 달리는 다리 힘 때문이 아니라, 덕성(德性)으로 인하여 훈련이 잘 되어 있기 때문이다.” 라 하셨다. 천리마.hwp 세상을 읽는 돋보기(공자) 2008.10.06